본문 바로가기

날자별 박스114

9월 마지막주 차트 - 하단부터 중복박스가 만들어지며, 시세를 낼 것으로 미리 예견한 수 있었던 상황.   (중복박스는 매물대를 중복으로 형성하여 아주 단단한 지지 또는 저항을 만듦. 왠만하면 실패가 없음. 추세를 읽는데에도 여러모로 활용할 수 있음)- 20202 부근에서 지속적인 지지를 받는 것은 시세가 날때, 출발한 시작점이기 때문임. 다음주도 해당라인을 중심으로 매매에 임하면 되겠음. (해당라인이 깨지면 매도, 지지받으면 매수) 2024. 9. 29.
나스닥선물(7.22프리장 박스성공1회) 7월22일- 상하폭 : 117P- 기간 : 프리장 11시간 (07:00~18:52)- 돌파 : B형- 발산 : 단기54P/장기100P이상- 복기 : 상하폭이 큰 것이 최근 장의 형태로 보임. 기존 고점을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저항점을 만들고, 기존 고점을 벗어나자 마자 발산을 한 경우로 손절없이 매매가 가능했던 자리. 프리장이란 변수가 있으나, 최근 움직임(상하폭이 큼)을 고려하면 정상적인 발산지점으로 보임. 해당라인(19840)은 추후에도 아주 중요한 지지점이 될 것으로 보임. 2024. 7. 23.
나스닥선물(7.19 프리장 박스성공 1회) 7월19일- 상하폭 : 45P- 기간 : 본장+프리장 9시 (05:35~15:50)- 돌파 : C형- 발산 : 단기37P/장기100P이상- 복기 : 본장이 포함된 프리장 박스. 본장을 포함하고 있기에 시간대(가로)가 꽤 길다고 봐도 됨. 그에 비해 세로폭은 작았으니, 제대로 응축된 박스. (단, 프리장이란 변수는 있음) 라운드피겨 상방으로 발산했다면 진입금지. 다만, 하방은 라운드피겨와 상관없는 자리이기에 무난히 진입가능한 자리. 2024. 7. 20.
나스닥선물(7.13 박스성공-1회) 7월13일- 상하폭 : 110P- 기간 : 본장 3시 (23:30~02:30)- 돌파 : B형 (손절이 짧은 경우, A형으로 볼 수도 있음)- 발산 : 77P- 복기 : 상하폭이 큰 박스가 생성됨. (7월1일의 경우와 비슷함) 상하폭이 크다는 것은 제대로 응축하지 않았다는 의미로 발산에 한계가 있음을 사전에 인지해야함. 다만, 최소익절 수준 이상은 가능함. 이번 월물의 특징이 작은 박스를 제대로 만들지 않음. 20,000이란 라운드피겨의 영향이 한 동안 있을 수 있음. 2024. 7. 14.
나스닥선물(7.9박스실패 1회 - D형) 7월9일- 상하폭 : 59P- 기간 : 본장5시간(00:00~04:55)- 돌파 : A형 - 박스깨짐- 발산 : 선 기준 19P상승후 박스깸 / 이후D형 으로 발산- 복기 : 3일간 큰 횡보권장. 6일에 만들어지고 있던 박스는 22일 본장 시작과 함께 저항을 받고 떨어짐. 이후 9일 0시부터 새로운 박스가 만들어 졌으며, 이후 발산함. 박스 발산과 함께 한번의 저항을 받아 손절이 난 케이스. 다만, D형으로 박스를 다시 돌파할 때 재진입했다면 의미있는 추세를 잡을 수 있었음. (손절을 투자로 생각하라!) 2024. 7. 9.
나스닥선물(7월1일. 박스성공1회) 7월1일- 상하폭 : 110P- 기간 : 본장+프리장+본장 18시간 (04:30~22:45)- 돌파 : C형- 발산 : 60P- 복기 : 20,000근처에서 지루하게 횡보하고 있는 장. 수일째 해당영역을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 다만, 6월29일이후 계단식 박스가 형성되었고, 본장시작이후 바로 발산함. 매매하기 좋은 타이밍은 아니나, 연습을 많이 한 사람에 한해 빠르게 진입/청산을 노려볼 수 있었던 자리. (개인적으로는 추천하지 않는 시간대) 계단식 박스는 어떤 박스중에서도 확률이 높음. 유심하게 다뤄볼 필요가 있겠음. 2024. 7. 2.
나스닥선물(6.28 본장박스성공1회)-통계미반영 6월28일- 상하폭 : 60P- 기간 : 본장4시간 (01:02~05:00)- 돌파 : B형- 발산 : 단기44P/장기80P- 복기 : 해당박스를 하단으로 발산했다면 진입하면 안 되는 상황.(라운드피겨). 다만, 상단으로 발산할 경우엔, 이미 라운드피겨와 60포인트 떨어져 있는 상황으로 좋은 기회임. 기존 고점을 넘는 순간을 잘 포착했다면 여유롭게 진입할 수 있었던 자리. 문제는 발산이 새벽5시이고, 제대로 발산하기 전에 장이 끝나버림. 우리는 오버나잇을 하지 않기에 통계에 반영치는 않음. 2024. 6. 28.
6.25/6.26 나스닥선물(성공2회) 6월25일- 상하폭 : 59P- 기간 : 프리장+본장5시간30분 (17:30~23:01)- 돌파 : A형- 발산 : 43P- 복기 : 계단식 박스가 생긴 첫번째 박스로 프리장부터 박스를 만들어 옴. 본장시작봉과 가깝기에 발산시 아래 위로 흔들로 발산하여 1회의 손절은 필수임. 발산이후에도 박스상단을 지속적으로 지키는 모습. 6월26일- 상하폭 : 48P- 기간 : 본장1시간 (23:01~00:13)- 돌파 : B형- 발산 : 64P- 복기 : 박스가 이어진 계단식 박스였기에 충분히 상승할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함. 계단식 박스는 추세를 부르는 일종의 전조현상으로 단.장기적으로 매매에 매우 유리함. 크게 보고 접근이 가능하다는 뜻. (다만, 선을 이탈하면 과감히 손절하고, 선을 회복하면 과감히 진입) 2024. 6. 26.
나스닥선물(6.18프리장 성공1회) 6월18일- 상하폭 : 50P- 기간 : 본장+프리장11시간(04:52~17:03)- 돌파 : A형- 발산 : 35P- 복기 : A형의 경우, 각 개인마다의 손절폭(단, 최대10P)에 따라 손절1회후, 재진입할 수도 있음-추천하는 형태.            오후9시30분 지표발표전 까지 해당라인을 지켰기에, 추후에도 해당 라인은 의미가 있음. 최근 본장 막바지부터 프리장까지 박스가 만들어지는 경향이 많음. 참고할 필요가 있겠음. 2024. 6. 19.
나스닥선물(6.17프리장 실패1회) 6월17일- 상하폭 : 50P- 기간 : 본장+프리장10시간(04:58~16:30)- 돌파 : A형 - 박스깨짐- 발산 : 선 기준 9P상승후 박스깸- 복기 : 계단식 박스를 갖추었음에도 프리장의 거래량 부족(발산힘 부족)으로 꺽인 사례. 다만, 큰 그림을 보면 20,000까지 올라갈 수 있는 원동력을 만들었음. 기법상 기회를 주지 않고 올라간 것이 다소 아쉬운 하루. 2024. 6. 18.
나스닥선물(6.15박스성공3회) 6월15일- 상하폭 : 33P- 기간 : 본장1시 (23:42~00:42)- 돌파 : B형- 발산 : 35P- 복기 : 본장 시작이후, 아직 방향성을 갖지 못한 상태에서의 박스발산. (상방인지?하방인지? 잘 모를때) 기법에 따라 대응하나, 사등분선 3번선이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으므로 안전하게 최소익절이 적당한 자리 6월15일(2)- 상하폭 : 39P- 기간 : 본장1시간15분 (00:54~02:09)- 돌파 : A형- 발산 : 35P- 복기 : 사등분선의 3번선을 찍고 올라와 다시 형성한 박스. 기존과 중복박스이긴 하나, 기존 박스상단보다 더 위에서 저항점이 나왔기에 상방으로의 발산은 정상적으로 매매해도 되는 자리. 발산자리/발산후 눌림 역시 크지 않음(4P) -B형에 가까운 A형으로 손절없이 진입/청.. 2024. 6. 15.
나스닥선물(6.13본장 성공1회) 6월13일- 상하폭 : 87P- 기간 : 본장+프리장+본장17시간 (05:42~23:17)- 돌파 : A형- 발산 : 50P- 복기 : 어제 본장 막판+전체 프리장 그리고 본장일부를 포함한 큰 박스. 21:30분에 지표발표로 박스 상단을 20포인트 정도 초과했으나, 지표발표임에도 이 정도의 초과분은 오히려 상단선의 저항이 단단하다는 반증.  발산시에도 꽤 많이 흔들었으나 큰 무리없이 하방으로 발산함. 다만, 박스크기에 비해 발산이 매우 작음. 사등분선의 3번선 영향으로 사료됨.(아래) 2024. 6.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