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23.11.22~24.01.05)
23.11.22~24.01.05 - (32일/본장오픈기준)
- 총 박스 : 40개
- 성공박스 : 28개
- 유형 D : 4개
- 실패박스 : 8개
* 성공률 : 70% / 실패율 : 30% (유형D 10% 포함)
* 하루평균 1.25개의 박스생성
[돌파눌림/성공기준]
- 돌파A형 : 9회 / 돌파B형 : 9회 / 돌파C형 : 10회
- 눌림A형 : 6회 / 눌림B형 : 5회 / 눌림없음 : 17회 (눌림C형은 "눌림없음"로 통일함)
- 돌파A형+눌림없음 : 3회 / 돌파B형+눌림없음 : 2회 / 돌파C형+눌림없음 : 9회
* 돌파 A,B,C형은 거의 동일한 비율(각33%)로 발생함.
* 눌림A형 21% / 눌림B형 17% / 눌림없음 61%
* 돌파C형시 눌림없이 돌파하는 경우 : 90% 이상
* (AA-4회, AB-2회,BA-1회, BB-3회,CA-1회,CB-없음) : AA형은 발산시에도 흔들고, 눌림시에도 선을 일부(10P이내) 침범.
[돌파눌림/실패기준]
- 실패 : 발산(12P,20P,28P,22P,12P,15P,15P,17P)후, 역추세
- 유형D : 선 훼손(14P, 10P, 14P, 12P)후 추세방향데로 발산 (80P, 50P, 70P, 70P)
* 박스실패시 평균16~17P 발산후, 역추세
* 유형D의 경우, 평균 12.5P 선 훼손후, 다시 회복한 후 추세방향으로 평균 70P이상 발산
[박스크기/성공기준]
- 본장박스 세로(가격)크기 : 평균49P ==> 발산크기 : 평균55P 발산 (가장 큰, 가장 작은 모수 제외)
- 프리장+본장 세로(가격)크기 : 평균53P ==> 발산크기 : 평균88P 발산
- 프리장(가격)크기 : 평균36P ==> 발산크기 : 평균64P 발산
- 본장+프리장(가격)크기 : 평균45P ==> 발산크기 : 평균75P 발산 (모수부족)
* 박스크기 평균 : 45P / 발산크기 평균 : 70P
[박스크기/D형]
- 본장박스 세로(가격)크기 : 평균48P ==> 발산크기 : 평균75P
* D형은 본장에서만 발생함(총4회)
[박스크기/실패기준]
- 본장박스 세로(가격)크기 : 평균53P
- 프리장박스 세로(가격)크기 : 평균40P
[박스발산 시간대/성공기준]
- 본장 15회 / 프리장+본장 6회 / 프리장 4회 / 본장+프리장 3회
- 본장에서 발산 21회(75%) / 프리장에서 발산 7회(25%)
- 본장 발산 시간대 23:30~01:00(7회) / 01:00~03:00(3회) / 03:00~05:00(6회) / 05:00~폐장(4회)
- 프리장 발산 시간대 08:00~12:00(2회) / 12:00~16:00(0회) / 16:00~20:00 (5회) / 20:00~23:30(1회)
* 본장에서는 시간대와 크게 관계없이 박스발산함.
* 프리장에서는 주로 16~20시 사이에서 박스발산함. (유럽장 시작과 맞물림)
==>결국 거래량이 많은 시간대에 박스발산이 된다고 봄.
[박스발산 시간대/D형 기준]
- 본장 4회
- 본장에서 발산 4회(100%)
* D형의 경우, 거래량이 많은 시간대에 많이 흔들고, 많이 날라감.
[박스발산 시간대/실패기준]
- 본장 6회 / 프리장 2회
- 본장 발산 시간대 23:30~01:00(1회) / 01:00~03:00(2회) / 03:00~05:00(3회) / 05:00~폐장(0회)
- 프리장 발산 시간대 08:00~12:00(0회) / 12:00~16:00(0회) / 16:00~20:00 (1회) / 20:00~23:30(1회)
* 박스발산실패 역시 본장에서 주로 발생함. (통계 모수 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