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19일~1월20일(박스성공-3회, 박스실패-1회)
1월19일(3)
- 상하폭 : 40p
- 기간 : 프리장 7시간20분(10:30~17:50)
- 돌파 : C형
- 눌림목 : 없음
- 발산 : 단기45P, 장기64P
- 복기 : 느리지만... 발산시에도 부담없고, 눌림도 없는 편안한 박스
(자주 나오지 않는 박스 프리장이라고 의심하지 말자. 기법에 맞으면 앞/뒤 가리지 말고, 생각없이 진입)
1월19일(4)
- 상하폭 : 47p
- 기간 : 프리장 5시간30분(18:00~23:30)
- 돌파 : A형
- 눌림목 : A형
- 발산 : 36P하락
- 복기 : 전체장이 상방추세인 상황에서 하방으로 박스를 깸 (역추세인 경우, 익절은 30P내외로 매우 제한적으로 해야함)
AA형은 진입시 손절이 많음
(늘 주의해야 겠음. 손절이 여러차례나서 매매를 멈추더라도 너무 공격적으로 진입하지 않길)
1월20일(1) - 중복박스(통계에 넣지 않음)
- 상하폭 : 52P
- 기간 : 본장1시간20분(23:30~00:40)
- 돌파 : 실패
- 발산 : 돌파가 되자마자 20P 박스깸, 이후 다시 상단선에 진입했으나, 또 다시 하방손절, 이후 상단선 재진입후 날라감.
- 복기 : 최소 2회 이상의 손절이 필요한 박스. 장시작봉과 연결된 박스로 많이 흔듦
이런 박스실패시에 얼마나 심리적으로 무너지지 않으냐?가 중요함. (3회 이상의 손절이라면 버리는게 낫은 선택)
1월20일(2)
- 상하폭 : 42p
- 기간 : 본장 1시간20분(01:00~02:20)
- 돌파 : B형
- 눌림목 : 없음
- 발산 : 100P 이상 상승
- 복기 : 오늘 총4개의 박스가 상하폭 100P로 오랜 시간횡보(응축)를 만든셈.
큰 그림으로 보는 습관을 들이자. 얼마나 날라갈 것이냐? 하나의 박스만 보지 말고, 주변 여러 박스의 응축정도를
보는 습관을 들이자.
** 세력/고래는 어떻게 하면 개미를 속일까? 연구한다.
속이고.. 또 속이고.. 또 속인다. 단, 세력이 속이면 속아줘라.
개미는 세력을 죽어도 못 이긴다. 세력과 싸우지 말고, 차트와도 싸우지 말아라.
어차피 우리는 손절이란 무기를 갖고 있고, 여러번 시도하여 한번만 먹으면 된다.
** 기법은 필요하지만, 결국 자신과의 싸움이다.
진입해야 할 자리를 제외하곤, 10시간 이상도 기다려야 하고, 심지어 클릭한번 못하고 매매를 종료할 수 있어야 한다.
정말 중요하다. 매일 매매를 시작할 때, 10번씩 되뇌이고, 모니터에도 붙여둬라. 정말 제일 중요하다.
** 박스는 명확한 지지/저항을 찾는게 중요하다.
간혹 너무 적극적으로 박스를 그리다보면 지지/저항라인에 오류가 생긴다.
현재 새벽06시10분
누군가는 깨어있다. 치열하되, 겸손하자.
내가 나에게.